MY MENU

지역정보

제목

창원문화재단, 미술인 초청 간담회 “향토작가 작품 구입사업 예산 제도화해야”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7.06.01
첨부파일0
추천수
0
조회수
749
내용

“향토작가 작품 구입사업 예산 제도화해야”

창원문화재단, 미술인 초청 간담회
“사업 지속 위해 ‘미술은행’ 도입하고
협회 회원수 따라 예산 분배 개선해야”

기사입력 : 2017-06-01 07:00:00



창원문화재단이 추진하는 향토작가 예술작품 구입사업을 안정적으로 지속하기 위해서는 관련 조례를 만드는 등 제도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30일 창원문화재단 이사회실에서 열린 2017 향토작가 예술작품 구입사업 간담회에서는 기존 사업방식의 부족함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의견들이 나왔다. 이날 간담회에는 경남·창원·마산·진해미술협회, 창원청년작가회, 경남민족미술협회(민미협), 학계 관계자 등 10여명이 참석했다.

사회를 맡은 곽성훈 창원문화재단 전시사업팀장은 “이 사업은 지난 2014년 시작해 지난해까지 3회에 걸쳐 추진됐다. 처음에는 창원·마산·진해미협 회원수를 기준으로 예산을 할당했으나 소외되는 층이 있다는 지적에 민미협과 협회 미등록작가도 포함시켰지만 여전히 부족하다는 여론이 많다. 이런 사업이 전국 다른 지자체에서 유례가 없어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참가자들은 사업의 취지가 좋고 지속해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지만 미협 회원수를 기준으로 예산을 할당하는 현재의 방식은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성춘석 경남민미협 회장은 “미협에 소속되지 않은 미술인들이 도내에 많다. 기회를 모두에게 개방해야 한다. 창원 작가 작품이 좋을 수도, 진해지역 작가 작품이 좋을 수도 있는데 협회별 예산할당방식은 의미가 없다. 공정성을 높이는 제도적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유창환 경남민미협 회원은 “어려움이 많음을 알기에 기존의 사업진행 방식도 존중하지만 협회 중심의 구도에서 벗어나 열린 방식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상문 경남미협 회장도 “협회 차원에서 벗어나 도내 모든 작가가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작품 구입 시 지금처럼 다수에게 혜택을 주기보다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천원식 창원미협 회장은 “이 예산이 처음 할당됐을 당시 조례에 명문화된 예산이 아니었기 때문에 언제 사라질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커서 가능하면 많은 작가들에게 혜택을 줘야 한다는 압박감이 있었다. 하지만 너무 나누다 보니 지나치게 적은 금액이 돌아가 실질적 혜택이 미미해졌고, 재단에서는 구입 작품을 관리하는 데도 어려움이 많다. 구매 시 선택과 집중으로 작품값을 제대로 매기는 게 낫다”고 말했다.

사업을 안정시키기 위한 방안으로는 미술은행 모델이 제안됐다. 황무현 마산대 교수는 “가장 중요하고 시급한 것은 사업의 지속 가능성이다. 향토작품 구입사업은 현재 고정된 예산이 아니기 때문에 정례화할 필요가 있고, 당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미술은행 사업으로 가야 한다고 본다. 전남과 성남의 경우 관련 조례를 만들어 미술은행을 운영하고 있다. 선도적인 운영 방식이 많기 때문에 벤치마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대식 진해미협 회장은 “사업 추진 근거자료를 시의회에 제출해 예산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업 지속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은희 창원청년작가회 회장은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은 중견 작가 위주, 정부미술은행은 경력이 짧은 신진작가 위주로 작품을 구입하는 투트랙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런 방식으로 청년작가를 위한 기회도 마련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회의를 주재한 박금숙 창원문화재단 문화예술본부장은 “사업 시행 전에는 모든 것을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오늘 제안된 의견을 바탕으로 어떤 방향으로 추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지를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김세정 기자

0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