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정보
링크 :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233433&gubun=
[기획] 문화예술도시 창원, 문화적 과정에서 답을 찾자(3)
(3) 스페인 타바칼레라
공무원이 만들고 전문협의체가 운영하는 ‘문화창조공간’
기사입력 : 2017-11-29 22:00:00
스페인 북부 기푸스코아 주의 도노스티아 산 세바스티안에 위치한 문화센터 ‘타바칼레라 (Tabakalera International Center for Contemporary Culture)’.
1913년부터 90년 동안 매년 250만 갑 이상의 담배를 생산하던 담배공장은 2015년 복합문화공간 타바칼레라로 새롭게 문을 연 후 개인과 기관의 창작활동 지원, 시민 예술활동 공간, 문화 프로그램 운영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근현대사가 고스란히 녹아 있는 상징적인 담배공장을 리노베이션해 지역의 문화공간으로 새롭게 탄생시킨 것은 다름 아닌 산세바스티안 시의 열정적인 공무원들이었다.
이들은 담배공장을 국제적인 현대문화센터로 조성하기 위한 열정을 품고 기푸스코아 주정부와 바스크 지방정부를 끊임없이 설득했고, 2004년 부지 매입과 2008년 건축설계 공모를 거쳐 2015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시켰다.

스페인 타바칼레라의 핵심적 실험공간인 창조도서관. 언제든 책을 읽고 현대미술 관련 창조활동이 가능하다.
무엇보다 놀라운 것은 정식 개관이 2년밖에 되지 않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문화공간 타바칼레라의 운영이 아주 안정적이고, 지역의 중요한 문화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타바칼레라의 운영은 크게 3가지로 ‘문화적 프로젝트’, ‘문화적 에코시스템’, ‘공공장소의 활용’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문화적 프로젝트의 다양한 시도이다. 2004년 시설 노후화로 폐쇄된 직후부터 리노베이션하는 동안에도 지속적인 문화프로젝트를 추진했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해 공간이 완성되기 전에 끊임없이 공간을 이해하려는 문화프로젝트 시도가 있었고 그 대표적인 것이 예술영화 중심의 ‘산 세바스티안 국제영화제 (San Sebasti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이다.
둘째, 문화적 에코시스템이다. 문화적 에코시스템은 공간의 구성 자체가 초기에는 협소하지만 중심이 되는 곳에서부터 공간이 다양하게 유기적으로 뻗어나가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하나는 이곳에 거주하는 입주 작가와 실내 인테리어가 문화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인 소재와 재료를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타바칼레라 전경.
이하 내용은 링크에서 확인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