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정보
내용
지역문화예술회관과 지역예술인
- 지역예술인들의 상주 공연 등 문화예술회관 활용 높여야

천 영 훈 (연극협회 경남지회장)
예전에 성산아트홀이 개관되고 얼마 후에 성산아트홀에 바란다는 글을 쓴 적이 있다.
내용은 “성산아트홀은 창원에 있다는 것! 그러면 가장 향토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보편화된 진리 속에, 어떻게 하면 가장 창원적이고, 가장 성산아트홀적이라는 것을 고민하고 추구해야 한다는 것을….
“어느 식당에 들어갔을 때 ‘네 시작은 미약하지만 나중에 창대하리라’는 가슴에 와 닿는 그 문구처럼 지금은 조금 미약하고 어설플지라도 우리 지역의 그 환경을 서로 위로하고 아끼고 사랑하여 그 나중을 기약하는 더욱 성숙된 그 모습을 기대하며, 성산아트홀의 그 규모에 걸맞은 지역예술 발전을 위해 발 벗고 나서는 진실된 이웃의 모습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하며, 극장이라는 것은 지역 예술을 꽃피울 수 있는 토양이라는 것. 지역 예술을 꽃피울 수 있도록 벌 나비 펄펄 날 수 있는 봄 들판이기를 꿈꿉니다”라는 것이었다.
그때는 성산아트홀의 소식지에 게재한 글이라서 한 장소로 국한돼 있지만 오늘은 우리 경남의 문화예술회관들과 지역예술과의 관계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한다.
지역문화예술회관의 역할을 몇 가지로 정리해 본다면 첫 번째로는 문화예술 향수 기회 제공을 위해 수준 높은 순수 예술 공연을 유치해 공공성과 수익성의 조화를 통해 지역 주민에 대한 책임을 강화하고 또 지역 주민을 위한 문화 예술 교육을 통해 지역 주민의 문화 예술적 욕구를 해결할 것이다.
두 번째로는 문화예술을 통한 지역 공동체 형성을 이루어야 할 것인데 문화예술 단체의 네트워크 매개체로서 국내외 기관 간 연계 협력 강화를 통한 공동제작, 공동초청, 국제 교류 활성화, 지역 문화예술단체, 예술인, 동아리 네트워크 조성에도 앞장서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지역 주민 커뮤니티 형성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로는 지역문화예술의 중심기관으로 지역의 예술적 상징으로 랜드마크화와 지역의 문화유산 발굴 개발 (지역의 자연 환경과 생태 환경, 전통, 역사, 생활사를 토대로 한 지역 유산 발굴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이렇듯 지역문화예술회관은 지역예술을 이끌어주기도 하고 뒷받침해 주기도 해야 한다고 본다.
또 좋은 공연을, 좋은 전시를 유치하여 지역민들에게 예술적 소양을 길러 안목을 높여주어야 한다.
물론 뜻있는 몇몇 문화예술회관에서는 지역예술인들을 위해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하고 또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의 지원을 받아 예술단체와 공동사업을 하기도 한다.
이처럼 섬세한 배려가 지역 예술인들에게 큰 힘이 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지역문화예술회관은 서울의 공연물을 지역의 관객들에게 선보이는 중계자 역할로 끝나는 듯하여 안타깝다.
물론 좋은 공연을 소개하는 중계자 역할을 그만두라는 것은 아니다. 좋은 공연을 통해서 지역민들에게 즐거움을 주어야 한다. 거기에 이제는 지역예술도 함께하자는 것이다. 지역문화예술회관에서 지역예술을 내팽겨 둘 게 아니라 10편의 초청공연이 있다면 1편의 지역공연도 함께 하자는 것이다.
지역예술단체들도 더 많은 관객을 만나기 위하여 노심초사하고 있듯이 지역문화예술회관도 지역예술단체와 공존할 수 있도록 노심초사해 주기를 바란다.
최근 통합 창원시의 성산아트홀과 3·15아트센터 관장님이 새로 부임하셨는데 지역 예술계를 잘 알고 계신 분들이라서 그 기대와 설렘이 어느 때보다 더 앞서는지도 모른다. 앞으로 변화된 지역문화예술회관과 지역예술의 만남을 꿈꾸며 그분들의 맹활약을 기대하면서 오늘도 연습장을 향한다.
내용은 “성산아트홀은 창원에 있다는 것! 그러면 가장 향토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보편화된 진리 속에, 어떻게 하면 가장 창원적이고, 가장 성산아트홀적이라는 것을 고민하고 추구해야 한다는 것을….
“어느 식당에 들어갔을 때 ‘네 시작은 미약하지만 나중에 창대하리라’는 가슴에 와 닿는 그 문구처럼 지금은 조금 미약하고 어설플지라도 우리 지역의 그 환경을 서로 위로하고 아끼고 사랑하여 그 나중을 기약하는 더욱 성숙된 그 모습을 기대하며, 성산아트홀의 그 규모에 걸맞은 지역예술 발전을 위해 발 벗고 나서는 진실된 이웃의 모습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하며, 극장이라는 것은 지역 예술을 꽃피울 수 있는 토양이라는 것. 지역 예술을 꽃피울 수 있도록 벌 나비 펄펄 날 수 있는 봄 들판이기를 꿈꿉니다”라는 것이었다.
그때는 성산아트홀의 소식지에 게재한 글이라서 한 장소로 국한돼 있지만 오늘은 우리 경남의 문화예술회관들과 지역예술과의 관계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한다.
지역문화예술회관의 역할을 몇 가지로 정리해 본다면 첫 번째로는 문화예술 향수 기회 제공을 위해 수준 높은 순수 예술 공연을 유치해 공공성과 수익성의 조화를 통해 지역 주민에 대한 책임을 강화하고 또 지역 주민을 위한 문화 예술 교육을 통해 지역 주민의 문화 예술적 욕구를 해결할 것이다.
두 번째로는 문화예술을 통한 지역 공동체 형성을 이루어야 할 것인데 문화예술 단체의 네트워크 매개체로서 국내외 기관 간 연계 협력 강화를 통한 공동제작, 공동초청, 국제 교류 활성화, 지역 문화예술단체, 예술인, 동아리 네트워크 조성에도 앞장서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지역 주민 커뮤니티 형성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로는 지역문화예술의 중심기관으로 지역의 예술적 상징으로 랜드마크화와 지역의 문화유산 발굴 개발 (지역의 자연 환경과 생태 환경, 전통, 역사, 생활사를 토대로 한 지역 유산 발굴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이렇듯 지역문화예술회관은 지역예술을 이끌어주기도 하고 뒷받침해 주기도 해야 한다고 본다.
또 좋은 공연을, 좋은 전시를 유치하여 지역민들에게 예술적 소양을 길러 안목을 높여주어야 한다.
물론 뜻있는 몇몇 문화예술회관에서는 지역예술인들을 위해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하고 또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의 지원을 받아 예술단체와 공동사업을 하기도 한다.
이처럼 섬세한 배려가 지역 예술인들에게 큰 힘이 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지역문화예술회관은 서울의 공연물을 지역의 관객들에게 선보이는 중계자 역할로 끝나는 듯하여 안타깝다.
물론 좋은 공연을 소개하는 중계자 역할을 그만두라는 것은 아니다. 좋은 공연을 통해서 지역민들에게 즐거움을 주어야 한다. 거기에 이제는 지역예술도 함께하자는 것이다. 지역문화예술회관에서 지역예술을 내팽겨 둘 게 아니라 10편의 초청공연이 있다면 1편의 지역공연도 함께 하자는 것이다.
지역예술단체들도 더 많은 관객을 만나기 위하여 노심초사하고 있듯이 지역문화예술회관도 지역예술단체와 공존할 수 있도록 노심초사해 주기를 바란다.
최근 통합 창원시의 성산아트홀과 3·15아트센터 관장님이 새로 부임하셨는데 지역 예술계를 잘 알고 계신 분들이라서 그 기대와 설렘이 어느 때보다 더 앞서는지도 모른다. 앞으로 변화된 지역문화예술회관과 지역예술의 만남을 꿈꾸며 그분들의 맹활약을 기대하면서 오늘도 연습장을 향한다.
0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