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지역정보

제목

창원의 아름다운 문화유산을 찾아서- 강경구(문화유산답사가·굿모닝요양병원장)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2.06.06
첨부파일0
추천수
3
조회수
1438
내용
창원의 아름다운 문화유산을 찾아서- 강경구(문화유산답사가·굿모닝요양병원장)
우리 가까이에 있는 많은 문화유산들 관심 가지고 찾아봤으면
기사입력 : 2012-06-05  



통합창원시는 인구 109만 명의 대도시가 되었고 남해안시대 발전의 중심축, 동남광역시경제권 제1의 성장거점 도시로 기대됩니다. 창원시는 국가지정문화재(국보, 보물, 사적, 중요무형문화재, 중요민속문화재, 명승, 천연기념물)는 국보는 없고 보물은 제435호인 창원불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을 비롯한 7점, 사적은 제240호인 창원성산패총을 비롯한 4점, 천연기념물은 제169호인 창원신방리 음나무군 1점이 지정되었습니다. 창원은 역사로 보나 도시 규모로 보나 국가지정문화재는 빈약합니다.

창원외동성산패총은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240호입니다. 성산구 외동공업단지 중간에 위치하고 있고 주위에 안내 팻말이 있어 찾기는 수월합니다. 남천연안의 소구릉공업단지의 한복판에 유물 전시실, 발굴 현장의 복원관이 넓은 정원과 함께 있습니다. 패총은 옛날 사람들이 가장 쉽게 구할 수 있는 식량인 조개더미 유적으로 이곳에서 그 당시 생활상을 알 수 있는 도구들이 같이 출토된 유적입니다. 야철지와 함께 신라 토기들이 출토되어 기원전부터 초기철기문화와 함께 유적이 형성되었음을 보여주고, 중국 한나라 화폐 오수전이 발굴되어 이 시기 중국과 교류하였음을 보여주는데 우리 문화유산 하나하나에도 깃든 의미가 깊다는 것을 느끼게 합니다. 잔디정원과 수목들이 잘 정비되어 있으나 꽤 넓은 대지에 비해 시설이나 문화유산은 빈약하다고 느껴집니다. 이런 넓은 대지라면 관람객이나 시민을 위한 편의시설이나 문화공간이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떠오릅니다. 더구나 창원에는 창원박물관조차 없어, 이런 것을 같이하였으면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약 2시간 답사시간 동안 일요일임에도 관람객 한 분 보지 못하였습니다. 우리 국민과 관계당국에서 문화유산에 대한 인식과 계몽이 꼭 필요하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합니다. 이렇게 더없이 넓은 대지에 왜 답사하는 분이나 관광하는 분이 거의 오지 않는 걸까, 우리 아름다운 문화유산에 대한 국민들과 관공서의 이해와 인식이 이렇게밖에 되지 않을까, 너무나 참담한 현실에 분노의 감정을 깊이 억누르고 나그네는 다시 다음 답사지로 떠납니다.

창원지역에 있는 사적 제472호인 진동리 유적은 정말 비참합니다. 토지구획사업 과정에서 발견된 곳으로, 마산지역의 어느 문화유산과 마찬가지로 도저히 찾을 수가 없습니다. 안내 팻말도 없고 진동지구 어디에서도 그런 초기국가의 발생 과정 등을 알 수 있는 흔적은 찾기 어렵습니다. 새로 짓는 건물더미 속에 초라한 팻말이 하나 있을 뿐입니다. 마산지역은 문화유산에 관한 안내 팻말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우리의 아름다운 문화유산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를 지켜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창원지역의 또 다른 사적인 주남저수지 부근의 사적 제327호인 다호리고분군은 고대국가 형성기의 고분입니다. 안내 팻말은 없고 다만 여기가 다호리고분군이라는 팻말이 여러 개 있습니다. 문화재구역이므로 훼손을 금한다는 경고문이 여러 개 붙어 있으나 고분터는 밭으로 경작되어 있습니다. 우리의 빛나는 문화유산이 이렇게 훼손 방치되어서야 되겠습니까.

봉암저수지는 마산 봉암동에 있는 등록문화재로, 등록문화재는 문화재청장이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에서 보존과 활용을 위한 조치가 특별히 필요하여 등재한 문화재입니다. 봉암저수지 입구 산길을 걸으니 온갖 세상의 잡념은 나무 뿌리같이 흩어져 버리고 어느덧 머리 안은 맑은 향기가 가득해져 옵니다. 시내 중심지의 산중턱에 이런 기적의 산중호수가 있으리라 상상조차 못했습니다. 신비로운 절경을 대할 때의 그 감동, 그 추억, 그 아련한 어린 날의 기억들 그리고 그 이름들. 우리 가까이 주위에도 이렇게 아름다운 문화유산이 있음을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

강경구(문화유산답사가·굿모닝요양병원장)

3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